설계/시공/유지보수
제안서 요청하기
logo logo
  • 회사소개
    • 인사말
    • 개요
    • 조직도
    • 역할과 임무
    • 비즈니스 파트너
    • 연혁
    • 오시는 길
  • 사업소개
    • 사업분야
  • 공법소개
    • RABC
    • RABC공법
    • 타공법과의 비교
    • 적용사례
    • 적용현장
    • 특허
  • 제품소개
    • EFBB시스템
    • - EFBB장치
    • - 바실러스균
    • - 미생물 활성제
    • 유지분해액 HUMAX
    • EFBB 소규모 공공하수처리시설
    • EFBB 개인하수처리시설
    • EFBB (소규모)도계폐수처리시설
    • EFBB 시스템 파일럿 플랜트
    • EFBB 장치 유니트
  • 고객지원
    • 자료실
    • 동영상
    • 문의하기
  • 설계/시공/유지보수
    제안서 요청하기
English

TECHNOLOGY

RABC
  • RABC
  • RABC 공법
  • 타공법과의 비교
  • 적용사례
  • 적용현장
  • 특허
> 공법소개 > RABC

RABC


알에이비시(주) 기술고문 공학박사 김응호

서울대 토목공학과 졸업(1974)
홍익대 토목공학과 교수(1977-2018)
동경대 도시공학과 대학원. 공학박사(1986)
펜실베니아주립대 방문교수(1994)
대한상하수도학회장(2007)
한국하수도발전사 편찬위원장(2016) 등
RABC공법 학술발표 리스트  

* 자료의 원문이 필요하시면 이메일주소 eunghokim@rabc.co.kr로 문의해 주세요.

RABC는 Rotating Activated Bacillus Contactor(회전식 활성 바실러스균 접촉장치)의 이니셜입니다. 바실러스속 미생물은 포자형성균으로 이 균의 라이프사이클은 포자-발아-영양세균-포자로 되풀이 됩니다. 결국 하폐수 고도처리에 가장 효력을 발휘하는 단계는 활성화된 바실러스 즉 Activated Bacillus 단계이고, 이를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핵심 장치라는 의미에서, RABC 용어는 제가 홍익대학교 교수 재직시 2003년 발표한 연구논문에서 처음 썼던 바 있습니다. 이 장치기술은 전래의 회전원판법(RBC)과는 접촉체가 수중과 공기중을 회전한다는 점만 같지, 원판 대신에 두꺼운 망상형 접촉체를 활용하면서, 우점미생물이 RBC의 활성슬러지 미생물과는 확연히 다른 특성이 있어, 학술적으로도 구별이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RABC장치는 포자형성균중에서 주로 호기성 바실러스속 미생물을 공학적 지표미생물로 활용하지만, 두꺼운 망상형 접촉체 내에는 혐기성 클로스트리듐(Clostridium)속 세균도 특히 고농도 하폐수처리시 많이 활동합니다만 악취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 기술은1993년경부터 한국과 일본의 소규모 회사간 협력으로 공동 개발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망상형 접촉체 제조는 일본에서 ‘AT-BC’기술로 시작되었고 무악취/ 저에너지/ 고효율 하폐수고도처리 공정 기술은 한국에서 2000년대 들어 환경부 ‘차세대 핵심환경기술 개발 사업’으로 공식화되었습니다. 한편 이 기술은 영국 기술자들도 이 한일협력기술을 벤치마킹해서 유럽에서는 ‘HYBACS’ 기술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는 RABC기술의 핵심인 ‘포자형성균 우점화 하폐수 고도처리 기술’은 21세기 글로벌 친환경 탄소중립·녹색성장 기술로도 계속 성장해 나갈 것으로 확신합니다.

Family Site
  • 디바이시스(주)
  • (주)바치루테크노코퍼레이션
웹메일
logo

알에이비시 (주)

사업자등록번호 : 355-81-02756

본사 :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6로 11, 314-41호

대표이사 : 김건

T. 070-7868-0220

F. 070-8610-3177

e-Mail. kunkim@rabc.co.kr

COPYRIGHT ⓒ 2022 RABC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